JIRA

지금까지 JIRA 하면 뭔가 복잡한 무언가라고 생각하고 있었던것 같다.

그래서 JIRA, 티켓 이런 이야기가 나오면 괜히 쫄아서 손 댈 생각도 못해보고 있었다.

하지만 요즘들어 다른 사람들도 다 쓰는데 나라고 못쓸까? 라는 생각을 갖고 그동안 못해본걸 해보고 있는데,

JIRA도 그 중 하나라고 생각이 되어 뭐가 됐든 한번 해보기로 했다.

최근 IDIOT-s 에서 팀 프로젝트 하는것도 JIRA 쓴다고 해서 팀원분께 알려달라고 부탁했다.

설명을 들으면서 시연하는걸 보고 나니 잔뜩 쫄아있던거에 비해 생각보다 별거 없었다.

깃허브 기능의 마일스톤, 이슈와 비슷한 느낌인데 더 쉽게 만들어둔 느낌이었다.


써보기

JIRA 에는 에픽이라는 조금 큰 작업 단위가 있고, 에픽 하위에 하위 이슈라는 작은 작업 단위가 있다.

내가 이해한 바로는 대충 이런 식으로 쓰는것 같다.

  1. 적절한 크기(하루 내로 할 수 있을 정도)로 업무를 쪼개고, 쪼갠 업무로 에픽을 만든다.
  2. 에픽에서 세부적으로 해야할 일을 나눠서 하위 이슈를 만든다.
  3. 하위 이슈를 처리할 때 해당 이슈 이름의 브랜치를 만들고 거기서 처리한다.
  4. 각각의 하위 이슈들을 작업하고 PR을 올린다.

팀 스타일에 따라 맞추면 되겠지만 기본적인 골자는 이런것 같다.

내가 써보면서 익힐겸, 팀원들도 꼬실겸 어떻게 쓰는지를 나름대로 정리해보았다.

이슈 생성 방법을 간단하게 사진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JIRA는 깃허브 org 레포지토리와 연동할 수 있다.

연동 후에 이슈를 처리하는건 아래처럼 하면 된다.

 

워크 플로우 설정같은거도 할 수 있는것 같았는데 차근차근 만져봐야겠다.

좀 더 많은 기능이 있겠지만 이 정도만 써봐도 깃허브보다 이슈 관리, 브랜치 설정하기 편하다는 느낌이었다.

그래서 팀 프로젝트 할 때 쓰자고 꼬셔서 도입에 성공했다. 야호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