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돌아보며

코드잇 스프린트를 완주하였다.

프론트엔드를 공부해보면서 느낀건 결국 나는 백엔드가 좋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6개월 동안 배운 점 또한 굉장히 값지기에 기억이 흐릿해지기 전에 정리해볼까 한다.

1. 웹 전반적인 과정 이해

코드잇 스프린트에서 프론트엔드를 공부하면서 최신 트렌드의 프론트엔드 기술들을 접해보았다.

이를 통해 백엔드 뿐 아니라 프론트엔드까지 공부하면서 웹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덕분에 협업할 때 백엔드만 알던 시절에 답답했던 부분을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었다.

특히 CORS 관련 부분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히 높아졌다.

2. 새로운 기술을 접하는 법

프론트를 공부하면서 이런저런 라이브러리들과 빠르게 바뀌는 기술들을 경험해보았다.

프론트엔드/백엔드로 분화된지 얼마 안되서 그런지 프론트엔드는 굉장히 변화가 빨랐다.

그래서 레퍼런스를 찾으려고 해도 대부분 이전 버전 예시들이 많아서 최신 버전으로 적용할 때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Next.js는 더 심한데, 페이지 라우터와 앱라우터는 아주 많이 다른 기술이라서 이전 기술이 크게 의미가 없는 수준이었다.

그래서 레퍼런스 찾기가 정말 어려워서 공식 문서를 열심히 읽게 되기 시작했던것 같다.

이런 경험 덕에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방법을 알았고, 좀 더 사고의 틀을 확장할 수 있었다.

 

프론트엔드를 경험한 후에 최종 팀 프로젝트에서 백엔드를 다시 하면서 이를 더더욱 크게 느꼈다.

다시 백엔드 개발을 하면서 기존에 써봤던 기능들을 복습도 해보고, 처음 접하는 기술에도 도전해보았다.

기존에 해봤던 기능들을 다시 써볼때는 전에는 이해없이 그저 보고 따라했던 것들을 이해하면서 쓸 수 있었고,

해보지 않았던 기술들에 도전할때는 프론트엔드를 공부하면서 맨땅에 헤딩하며 배우던 경험들이 도움이 되었다.

백엔드만 할때는 베스트 프랙티스 위주로만 써서 새로운 기술에 대한 거부감이 컸는데 그런 거부감이 많이 줄었다.

3. 다른 언어를 읽는 법

자바스크립트와 타입스크립트라는 새로운 언어를 공부하면서 자바만 알던 시절보다 다른 언어를 이해하기 편해졌다.

자바스크립트라는 함수형 언어를 접해보고 나니 코틀린 코드도 술술 익히게 되었다.

특히 개발 서적을 읽을 때 큰 차이점이 생겼는데, 전에는 다른 언어로 예시 코드를 들면 이해하기 정말 어려웠지만

이제는 어떤 느낌으로 설명하는지 이해가 잘 되었다.

코드잇 스프린트 수료식

6개월 간의 코드잇 스프린트 3기 과정이 끝이 났다.

사실 도중에 취직해서 중도 수료가 목표였지만 결국 끝까지 수료하게 되었다.

오늘은 서울에 있는 코드잇 본사에서 수료식에 참석하였다.

33명 중 30명이 참석하고, 멘토링을 진행해주시던 각 파트 멘토님들도 꽤 참석해주셨다.

그래서 그간 안면이 있는 동기들, 멘토님들과 이야기도 하면서 회포를 푸는 시간을 가졌다.

뒤돌아보면 팀으로 활동하면서 이 사람들에게 동기 부여도 받으면서 열심히 공부했던것 같다.

개중에는 한번도 같은 팀원이 된 적도, 위워크에서 만난적도 없어서 어색한 사람도 있긴 했지만

그래도 대부분은 아는 사람들이어서 제법 재밌게 놀고 왔던것 같다.

 

부트캠프 수료가 크게 의미가 있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이것도 나름의 인연이다.

내가 이 사람들에게 완벽한 사람이 될 순 없었겠지만 좋은 기억으로 남았으면 좋겠다.

개발자의 길을 계속 걷는다면 언젠가 또 이 사람들과 연이 닿아서 만날 수 있겠지.

이제 다시 취직까지 열심히 달려봐야지.

 

 

24주차에 한것

이번 주에는 nginx와 certbot을 이용하여 HTTPS를 적용해보았다.

또한 HTTPS 적용 시 스웨거 관련 CORS 오류를 해결하였다.

 

이번 주에 한 일

  • 유저 정보 조회/수정 기능 구현
  • 게시글 작성 기능 구현
  • 배포 서버에 HTTPS 적용
  • HTTPS 적용 시 스웨거에서 발생하는 CORS 오류 해결

결과

저번 팀 프로젝트에서는 Route53로 인증서를 발급하고 AWS ELB로 HTTPS로 리다이렉트 시켰었는데

nginx와 certbot으로 다른 AWS 서비스 없이 EC2만으로 HTTPS를 적용할 수 있었다.

그동안 nginx로 인증서를 발급받고 적용할 수 있다고 듣기만 했었는데 괜히 쫄아서 못했었다.

이번 기회에 nginx로 HTTPS를 적용해보면서 nginx에 대해 어느정도 감을 잡을 수 있어서 좋았다.

저번에 프리티어 끝나고 ELB를 제거해두지 않아서 요금이 꽤 나왔었는데 무료로 할 수 있다는 점도 좋았다.

 

또한 프론트와 협업하면서 API 명세서로 스웨거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HTTPS 적용 전에는 잘 되던게

HTTPS를 적용하면서 스웨거에서 갑자기 CORS 오류가 발생하여 이를 수정하였다.

스웨거를 이번에 처음 써보는거라 스웨거 관련 설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던것 같다.

 

이번 주에 아쉬웠던 부분은 아래와 같다.

  • 이번 주는 프로젝트에 집중을 잘 하지 못했음.
  • 이미지 저장 기능까지 끝내고 싶었으나 하지 못함.

4주차 숙제

이번주는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로그인 / 회원가입 기능을 추가하는게 숙제였다.

요구사항은 아래와 같다.

  • 로그인 페이지의 이메일, 비밀번호 input 유효성 검증에 필요한 함수를 만들고 적용
  • 회원가입 페이지의 이메일,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 input에 필요한 유효성 검증 함수를 만들고 적용
  • 유효성 검증 결과에 따른 CSS 효과 적용

결과

사실 로그인 / 회원가입 두가지를 해야하지만 시간 조절에 실패해서 로그인만 하고 제출했다.

저번주에 시간이 모자랐어서 이번주는 매일 30분씩 투자해야지 생각은 했지만 결국 안하고 말았다.

반응형도 해보자 했는데, 결국 다음으로 미뤄야할것 같다.

자바 스프링으로 토이프로젝트도 같이 하고, 북스터디 까지 하려니 시간이 너무 모자라다.

거기다가 아버지 간호까지 해야해서 시간이 도무지 남아나질 않았다.

뭐 다 핑계긴 하지만... 다음주차는 꼭 마지막날 벼락치기 하지 말고 조금씩 해두자.

 

아직 자바스크립트 이해가 부족한지, input 태그의 값을 이용하는 기본적인 법을 잘 모르겠다.

또한 로그인 페이지를 요구사항대로 만들긴 했지만, 무언가 많이 아쉽다.

더 다듬으면 깔끔하게 로직을 작성할 수 있을것 같은데, 지금은 너무 되는대로 짠 티가 난다.

분명 변경에 취약할거라는 예상이 들지만, 시간이 부족해서 리팩토링 할 엄두도 못냈다.

 

이번주에 나의 부족했던 부분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마지막날에 벼락치기 하지 말고 매일 조금씩 해두기
  • 자바스크립트로 DOM 요소 값 받아오는 과정 이해 부족
  • 프론트 페이지 만드는법에 대한 숙련도 부족
  • 반응형은 결국 안함

3주차 숙제

이번주는 1,2 주차때 만든 페이지들에 CSS를 이용해서 반응형을 적용하는게 숙제였다.

요구사항은 아래와 같다.

  • 반응형 웹사이트 제작
  • 메타태그 적용
  • React와 같은 UI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진행

결과

사실 CSS 가 너무 싫어서 PC 버전만 해보고 다른 버전은 손을 놓아버렸다.

CSS 가 싫어서 라는 이유도 있지만, 결국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하는지 엄두도 못낼것 같았다.

이건 내가 못하는 영역이니 결국 공부가 필요할것 같다.

그리고 마지막날에 벼락치기 하려니 시간이 너무 모자랐다.

다음주 숙제는 매일 30분 정도씩 투자해서 좀 여유롭게 해봐야겠다.

올라오는 템플릿을 보고 반응형 CSS 적용도 해보자.

 

이번주에 나의 부족했던 부분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마지막날에 벼락치기 하지 말고 매일 조금씩 해두기
  • 템플릿 코드 보고 반응형 적용해보기

2주차 숙제

이번주는 HTML, CSS를 이용해서 로그인, 회원가입 페이지를 만드는게 숙제였다.

요구사항은 아래와 같다.

  • 피그마 디자인에 맞게 PC사이즈 로그인 페이지를 만들기
  • React와 같은 UI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진행

결과

이번주도 CSS 는 너무 싫었다.

그래도 꾸준히 해봐야지... HTML, CSS 구조를 이렇게 잡는게 맞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리액트를 쓰면 조금 달라질것 같기도 한데, 아직 감이 잘 안온다.

이것도 꾸준히 해보면서 경험을 늘려야할것 같다.

1주차 숙제

이번주는 HTML, CSS를 이용해서 랜딩 페이지를 만드는게 숙제였다.

요구사항은 아래와 같다.

  • 피그마 디자인에 맞게 PC사이즈 랜딩 페이지를 만들기
  • React와 같은 UI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진행

결과

진짜 CSS 하기 너무 싫었지만, 그래도 어떻게든 하긴 했다.

그래도 요구사항은 다 채우긴 했는데 이렇게 하는게 맞나 싶긴 하다.

CSS 는 그냥 꾸준히 하면서 늘리는 수 밖에 없을것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