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적 IP 

AWS 인스턴스는 중지/종료되면 새로운 IP를 할당받아 실행된다.

만약 오류가 생겨서 인스턴스를 종료하고 다시 실행해야 한다면 그때마다 IP가 변경되기 때문에 관련 설정을 다시 해줘야한다.

특히 배포 상태일 때는 도메인 관련해서도 IP를 매번 바꿔줘야하므로 탄력적 IP를 설정하는게 편하다.

중지 후 재 실행 결과

 

그래서 AWS로부터 고정된 IP를 할당 받아서 사용하는 기능이 탄력적 IP 이다.

탄력적 IP는 할당받으면 그대로 과금이 된다.

인스턴스에 적용하지 않아도 요금제 계산은 들어가니 필요한 만큼만 할당받아야 한다.


1. 탄력적 IP 할당

1-1. 탄력적 IP 탭으로 이동 후 탄력적 IP 주소 할당

1-2. 탄력적 IP 주소 할당

딱힌 건들 필요 없이 기본 설정대로 할당 받으면 된다.

1-3. 탄력적 IP 주소 연결


2. 탄력적 IP 연결 확인


번외) 탄력적 IP 릴리즈

프리티어가 끝나면 EC2 인스턴스를 종료해도 탄력적 IP는 남기 때문에 반드시 릴리즈 해줘야한다.

탄력적 IP 주소 연결 해제 후 릴리즈 하면 된다.

 

참고자료

 

AWS 1편: EC2 생성 후 Spring Boot 띄우기

Overview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Spring Boot 서버를 띄워보는 것까지 진행합니다. 주 목표는 서버를 외부에 제공하는 거라서 따로 배포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단순히 빌드 파일을 복사해서 수

bcp0109.tistory.com

 

서비스 배포

AWS EC2로 서비스 할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해보려고 한다.

이전 프로젝트에서도 배포는 내가 맡았지만 그땐 생각없이 따라했던게 컸던것 같다.

복습도 하면서 아직도 남아있는 배포에 대한 두려움도 지울겸 배포 과정을 정리해보려 한다.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Spring Boot 서버를 띄워보는 것까지 진행한다.

AWS 계정 만드는건 생략하고 진행한다.


1. EC2 인스턴스 생성

1-1. AWS Region 선택 후 EC2 탭으로 이동

아무래도 인스턴스 위치가 가까울 수록 속도도 나을테니 서울을 선택한다.

1-2. 리전 확인 후 인스턴스 시작

1-3. 인스턴스 이름 및 OS 설정

인스턴스 이름은 필요하다면 설정하고 OS는 편한걸 고르면 된다.

본인은 Ubuntu로 진행하려 한다.

1-4. 인스턴스 유형 설정

프리티어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실 t2.micro 외엔 대안이 없긴 하다.

과금 의향이 있다면 규모에 맞는 인스턴스를 선택하면 된다.

1-5. 키 페어 생성

키 페어(로그인) 탭에서 새 키 페어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키 페어를 생성한다.

EC2 인스턴스와 SSH 접속을 할 때 이 키 페어가 필요하다.

한 번 다운 받으면 다시 받을 수 없으니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1-6. 네트워크 설정

내 IP에서 SSH 연결을 할 수 있도록 보안 그룹을 생성해서 등록한다.

추후 필요 시 보안그룹을 추가로 생성한다.

1-7. 스토리지 설정

인스턴스의 볼륨을 설정한다.

프리티어는 최대 30GB까지 지원하므로 30GB로 설정한다.


2. 생성된 EC2 인스턴스 확인

인스턴스 탭으로 이동하면 설정한대로 인스턴스가 만들어진걸 확인할 수 있다.

 

참고자료

 

AWS 1편: EC2 생성 후 Spring Boot 띄우기

Overview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Spring Boot 서버를 띄워보는 것까지 진행합니다. 주 목표는 서버를 외부에 제공하는 거라서 따로 배포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단순히 빌드 파일을 복사해서 수

bcp0109.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