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Secure Shell Protocol)
SSH란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대표적인 사용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원격 제어
- 데이터 전송
SSH를 통해 내 컴퓨터(로컬)에서 EC2 인스턴스로 접속해볼것이다.
그러면 로컬에서 EC2로 접속해서 인스턴스를 이리저리 건드려볼 수 있다.
이후 데이터 전송까지 진행해서 EC2 인스턴스에 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을 띄워볼것이다.
1. SSH로 EC2 인스턴스에 접속
1-1. 인스턴스로 이동해서 연결 버튼 클릭
1-2. 인스턴스 연결 방법 확인
AWS에서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방법을 너무 친절히 잘 알려줘서 적혀있는걸 따라만 해도 된다.
아래부터는 순전히 여기 적혀있는걸 따라하는 과정이다.
1-3. CLI(Git Bash)로 키 페어 위치로 이동
위 사진은 이전 EC2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생성했던 키 페어 사진이다.
이제부터 EC2 인스턴스에 접근할 때 이때 만들었던 키 페어가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download 폴더에 있을 것이다.
본인은 이걸 바탕화면으로 옮겼기 때문에 desktop 경로로 이동했다.
1-4. 키 페어 권한 변경
chomd 커맨드로 키 페어의 권한을 변경해준다.
1-5. EC2 인스턴스 접속
이제 키 페어로 EC2 인스턴스로 이동하려면 아래와 같은 양식으로 입력하면 된다.
유저 이름은 OS마다 조금씩 다른데, 본인은 OS를 ubuntu로 했기 때문에 유저 이름은 ubuntu이다.
ssh -i {키 페어 파일 이름} {유저이름}@{EC2 인스턴스 주소}
혹은 아래 처럼 연결해둔 탄력적 IP나 public IP 주소로 접근도 가능하다.
(my-key.pem를 감싸는 " "는 생략 가능)
2. EC2 인스턴스 접속 확인
첫 접속때는 위와 같은 라인이 뜰 수도 있는데, yes를 입력하면 된다.
입력 커서가 가리키는 부분이 빨간 표시 영역처럼 바뀌면 접속에 성공한것.
참고로 EC2 인스턴스 접속을 끝내고 싶다면 ctrl + D 를 누르면 된다.
참고자료
AWS 1편: EC2 생성 후 Spring Boot 띄우기
Overview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Spring Boot 서버를 띄워보는 것까지 진행합니다. 주 목표는 서버를 외부에 제공하는 거라서 따로 배포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단순히 빌드 파일을 복사해서 수
bcp0109.tistory.com
'DevOps > 서비스 배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배포 6: 보안 그룹 설정 (0) | 2024.02.29 |
---|---|
AWS 배포 5: EC2에서 Spring Boot 서버 띄우기 (0) | 2024.02.28 |
AWS 배포 4: EC2에 파일 전송 (0) | 2024.02.23 |
AWS 배포 2: 탄력적 IP 설정 (0) | 2024.02.16 |
AWS 배포 1: EC2 인스턴스 생성 (0) | 2024.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