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공부의 필요성
프로그래머가 구현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나머지 환경들을 계속 추상화 시켜서 추상화의 아래 쪽으로 숨겨버리다 보니
정작 프로그래머가 컴퓨터 자체를 모르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 『모던 리눅스 교과서』(책만, 마이클 하우센블라스 지음, 송지연 옮김, 2023)
친구에게 추천받은 책의 서문에 적힌 문장이다.
최근 토이 프로젝트 배포를 위해 인프라 설정도 해보고, 도커나 MySQL도 공부하려니까 CLI를 만질 일이 많아졌다.
그래도 요즘은 챗 GPT 덕분에 웬만해선 리눅스의 필요성을 잘 모르고 살았다.
GUI에 절여져서 간단한 ls 같은 커맨드만 알고 있고, 막힐때는 챗 GPT의 힘을 빌려서 해결했었다.
하지만 최근 친구와 새로 토이 프로젝트를 구상하며 이야기를 나눠보면서 생각이 달라졌다.
환경변수 같은 간단한 설정도 Node.js 나 SpringBoot 같은 프레임워크의 도움을 받아야만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지만,
간단한 리눅스 커맨드로도 해결하는걸 보고 리눅스라는 기본기를 깔고가면 사고의 폭이 넓어질 수 있을거란 생각이 들었다.
개발자라면 어쩔 수 없이 리눅스를 공부하긴 해야하는것 같다.
회사에 들어가면 인프라를 직접 만질 일이 얼마나 있을까 싶긴 하지만,
그래도 너무 추상화된 고수준 동작만 알고 있는건 바람직하지는 않다는 생각이 든다.
토이 프로젝트를 고도화 하면서 이것저것 써보려면 어떻게든 필요하기도 하고.
엄청 깊게 공부하지는 않더라도 적당히 책 1~2권 정도는 읽고 필요한 만큼은 쓸 수 있게 되는게 목표이다.
'주절주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절주절] DB 공부를 하자 (0) | 2024.05.22 |
---|---|
[주절주절] 테스트 환경 격리에 대한 고민 (0) | 2024.05.20 |
[주절주절] 최종 팀 프로젝트 끝 (0) | 2024.05.17 |
[주절주절] Re:Dash (0) | 2024.03.28 |
[주절주절] 2차 팀프로젝트 발표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