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 정리
전통적인 패러다임에서 코드를 재사용하는 방법은 코드를 복사한 후 수정하는 것이다.
객체지향에서는 일반적으로 클래스 안에서 코드를 작성하며, 코드를 재사용하기 위해 새로운 클래스를 추가해서 코드를 추가한다.
이 때 상속을 이용하며, 재사용 관점에서 상속이란 클래스 안에 정의된 인스턴스 변수와 메서드를 자동으로 새로운 클래스에 추가하는 구현 기법이다.
객체 지향에서는 상속 외에도 합성이라는 새로운 클래스의 인스턴스 안에 기존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포함시키는 방법으로 코드를 효과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상속과 중복 코드
DRY 원칙 (Don't Repeat Yourself)
중복 코드는 코드를 수정시 중복된 모든 코드를 수정해야하므로 수정에 드는 노력을 몇 배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고 수정하기 쉬운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중복을 제거하는 것이다.
중복과 변경
많은 코드 더미 속에서 어떤 코드가 중복인지를 파악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중복 코드는 항상 함께 수정돼야 하기 때문에 수정할 때 하나라도 빠트린다면 버그로 이어질 수 있다.
상속을 이용해서 중복 코드 제거하기
상속의 기본 아이디어는 매우 간단하다. 이미 존재하는 클래스와 유사한 클래스가 필요하다면 코드를 복사하지 말고 상속을 이용해 코드를 재사용한다.
하지만 상속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지 않은 클래스를 상속해 재사용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개발자는 재사용을 위해 상속 계층 사이에 무수히 많은 가정을 세웠을 수도 있고, 이는 코드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 뿐 아니라 직관에도 어긋날 수 있다.
상속을 이용해 코드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부모 클래스의 개발자가 세웠던 가정이나 추론 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하므로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 사이의 강한 결합을 갖게 한다.
취약한 기반 클래스 문제
상속은 자식 클래스와 부모 클래스의 결합도를 높이며, 이로 인해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구현 세부사항에 엮이게 된다.
이처럼 강하게 결합됨으로써 부모 클래스의 변경에 의해 자식 클래스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현상을 취약한 기반 클래스 문제라고 부른다.
취약한 기반 클래스 문제는 상속이라는 문맥 안에서 결합도가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리킨다.
상속은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구현 세부사항에 의존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캡슐화를 약화시키며, 이는 상속을 피해야하는 이유이다.
불필요한 인터페이스 상속 문제
인터페이스는 제대로 쓰기엔 쉽게, 엉터리로 쓰기엔 어렵게 만들어야 한다.
상속을 이용하면 규칙을 무너뜨릴 여지가 있는 퍼블릭 인터페이스까지도 함께 상속받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메서드 오버라이딩의 오작용 문제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할 경우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사용하는 방법까지 고려해야 한다.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의 동시 수정 문제
클래스를 상속하면 결합도로 인해 자식 클래스와 부모 클래스의 구현을 영원히 변경하지 않거나, 자식 클래스와 부모 클래스를 동시에 변경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상속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추상화에 의존하자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구현이 아닌 추상화에 의존하도록 만들면 부모의 변경에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변하는 것으로부터 변하지 않는 것을 분리하라", 또는 "변하는 부분을 찾고 이를 캡슐화하라" 라는 조언을 메서드 수준에서 적용한다.
변하는 부분을 메서드로 추출하여 격리시키고, 변하지 않는 부분을 부모 클래스로 올린다.
추상화가 핵심이다
공통 코드를 부모 클래스로 이동시키고 변하는 부분을 추상화하면 자식 클래스들은 각각 하나의 서로 다른 변경의 이유만을 가진다. 따라서 단일 책임 원칙을 준수하므로 응집도가 높다.
합성
상속은 강력한 도구지만 코드를 재사용하기 위해 맹목적으로 상속을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상속의 오용과 남용은 애플리케이션을 이해하고 확장하기 어렵게 만드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상속을 사용해야 한다.
코드 재사용 측면에서 대부분의 경우에 상속은 우아한 해결 방법이 아니다.
상속의 단점을 피하면서도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는 더 좋은 방법은 바로 합성이다.
인상깊었던 점
"상속은 강력한 도구지만 코드를 재사용하기 위해 맹목적으로 상속을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이번 장에서 말하고 싶었던건 위의 문장인거 같다.
사실상 이번 장은 상속의 문제점을 설명하고, 다음 장의 내용인 합성을 위한 빌드업이었던것 같다.
자바 라이브러리의 예시를 들어서 무분별한 상속의 단점을 잘 설명해줘서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
'공부방 > 북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브젝트] 12장 (0) | 2024.03.26 |
---|---|
[오브젝트] 11장 (0) | 2024.03.18 |
[오브젝트] 9장 (0) | 2024.02.20 |
[오브젝트] 8장 (0) | 2024.02.06 |
[오브젝트] 7장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