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그룹 설정
이전 글에서 RDS 인스턴스를 생성했다.
RDS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default와 EC2의 보안 그룹을 추가해주었다.
그래서 현재 EC2에서 접근은 가능하지만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추가로 설정해줘야한다.
이 글에서는 생성할 때 추가해둔 default 보안 그룹을 수정해서 로컬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1. default 보안 그룹 수정
1-1. RDS 인스턴스로 이동
생성된 RDS 인스턴스를 눌러서 인스턴스 정보를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1-2. default 보안 그룹 수정 페이지으로 이동
인스턴스 정보 창에서 아래로 쭉 내려오면 보안 그룹 규칙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default 보안 그룹을 눌러서 이동한다.
default 보안 그룹을 클릭해서 이동하면 아래처럼 확인할 수 있다.
보안 그룹 ID를 눌러서 수정 페이지로 이동하자.
1-3. 보안 그룹 수정
로컬에서 RDS에 접근할 수 있게 인바운드 규칙에 아래처럼 내 IP를 추가한다.
1-4. 보안 그룹 수정 확인
아래처럼 새로 추가한 규칙을 확인할 수 있다.
2. 로컬에서 RDS 접근
로컬에서 인텔리제이나 DBeaver 등으로 RDS에 접근한다.
본인은 DBeaver를 이용할 것이다.
2-1. DBeaver로 새 데이터베이스 연결
2-2. RDS 접근을 위한 DB 정보 입력
DBeaver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창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어떤 DB 접근 GUI를 쓰더라도 아래와 구조는 같을것이다.
이제 엔드포인트, 포트번호, DB 이름,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이후 Test Connection으로 연결이 잘 되는지 확인하면 끝.
엔드포인트와 포트번호는 RDS 연결 및 보안 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
DB 이름과 마스터 사용자 이름은 RDS 구성 탭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로컬에서 RDS 접근 확인
Test Connection에 성공하면 아래와 같은 창을 확인할 수 있다.
'DevOps > DB 연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연동: EC2에 Redis 설치 방법 및 커맨드 정리 (0) | 2024.06.03 |
---|---|
서비스와 DB 연동 1: RDS 인스턴스 생성 (0) | 2024.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