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슬슬 리액트를 사용하면서 상태 관리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어떻게 하면 더 쉽게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지 알아보다가 이런 라이브러리를 알게 됐다.
무작정 사용하는것 보다는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react-query와 redux의 차이
- react-query는 서버 상태를 다루는 라이브러리이다.
- redux, recoil, justand 등은 클라이언트 상태를 다루는 라이브러리이다.
react-query
react-query는 전역 상태를 관리하는게 아닌, 서버-클라이언트 간의 API 비동기 작업을 도와주는 라이브러리다.
캐시처리를 해서 매번 같은 요청을 하지 않을 수 있고, isLoading 같은 상태 값과 메서드를 지원한다.
react-query를 잘 이용하면 전역적으로 관리할 데이터가 많이 줄어든다.
redux
redux는 전역 상태를 관리한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서버 데이터와 관계없이 전역적으로 데이터를 다뤄야 할 때가 있다.
이때 사용하는게 redux 같은 전역 상태 라이브러리이다.
결론
서버 상태, 클라이언트 상태를 관리하는 라이브러리를 잘 구분해서 적절하게 사용하자.
react-query + recoil 의 조합을 많이들 추천하는것 같다.
redux, justand, mobx 등도 찍어먹어보고 react-query + recoil 의 조합을 이용해보자.
'프론트엔드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rtal을 이용한 모달 만들기 (0) | 2024.01.26 |
---|---|
Vite 와 CRA (0) | 2024.01.20 |
Yarn Berry와 NPM (0)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