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 데이터베이스

스프링을 공부하는 개발자라면 아마 대부분 들어보고 한번쯤 써봤을것이다.

나도 김영한님 강의를 들으면서 뭣 모르고 따라하며 써보기는 했지만 하라는대로 따라만 했지 설정하는법은 몰랐다.

이번 기회에 간략하게 정리해보려 한다.

1. 기본 설정

application.yml 

spring:
  h2:
    console:
      enabled: true
      path : /h2-console

 

우선 H2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려면 application.yml 형식 기준 이렇게 설정하면 된다.

2. 접속

이제 스프링 서버를 띄우고 localhost:8080/h2-console 로 접속한다.

그러면 이런 H2 콘솔창이 우리를 맞이해줄것이다.

이제 인텔리제이 콘솔창을 보자.

 

위 사진의 빨간박스 안의 내용물이 우리의 JDBC URL 이다.

이 부분을 복사해서 H2 콘솔창의 JDBC URL 부분에 붙여넣기하고 Test Connection 을 누르면

 

연결 성공 !

3. 고정 JDBC URL 설정하기

그런데 이 주소는 스프링 서버를 내렸다가 다시 올리면 매번 바뀐다.

그럼 H2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려면 매번 새로운 주소를 복사해서 접속해야할까?

아니니까 이 글을 썼겠지. 아래처럼 yml 에 설정 몇줄을 추가하면 고정 URL 을 설정할 수 있다.

application.yml 

spring:
  h2:
    console:
      enabled: true
      path : /h2-console

  datasource:
    url: jdbc:h2:mem:dunple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설정을 마치면 아래처럼 이제 스프링 서버를 내렸다가 다시 올려도 해당 URL 로 고정된다.

이제 이 주소로 JDBC URL 에 입력하면 끝 !

 

끝 !

'백엔드 >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eryDSL 적용하기: gradle-kotlin  (0) 2024.05.13
포트원 API 사용해보기  (0) 2024.04.04
plain-jar 파일 생성 방지  (0) 2024.01.16
JWT 발급해보기  (0) 2023.10.04
QueryDSL 적용하기: gradle-groovy  (0) 2023.09.25

+ Recent posts